제작년 2016년에 일드를 보면서 여장한 남자 배우들에게 강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주인공을 소개할 때는 꽃돌이가 아닌 꽃중년이라고 하는 것이 더 어울리겠습니다. 정말 신기하게도 남자 역을 맡아 연기할 때는 그닥 존재감을 느낄 수가 없었는데, 여장 연기를 하는데 있어서 여장이 상당히 잘 어울릴 뿐더러, 정말 개성이 강한 연기로 그 역을 완벽하게 소화를 한 것입니다. 정말 신기했습니다. 여자가 아닌 걸로 아는데 말이죠. 어쩌면 그 배우들 입장에서 본다면, 슬픈 일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평생 여장 연기만 할 수 없으니까 말입니다. 완소했던 두 배우가 머릿속에 딱 떠오르는데, 한 분은 작품도, 배우의 이름도 생각이 안납니다. 얼굴만 생각 나네요. 어느 여자 idol group을 위한 짧막한 drama였는데, 주..
인사는 어딜가도 항상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인사하기 싫을 때는 모르는 사람인 것처럼 위장하고 지나가는데, 일단 아는 사람이라고 들켰다고 한다면 그 처럼 그냥 지나가면 안되겠죠. 가벼운 목례라도 하고 가는 것이 예의입니다. 영어권에는 입버릇처럼 말 하는 인사가 있습니다. 그냥 '네'처럼 자주자주 하는 말이 바로 'Thank you'인 것 같습니다. 저도 당연히 해줘야 하는 일임에도 그 뒤에는 항상 습관처럼 답례하곤 합니다. 입 버릇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남이 들어서 기분 좋은 좋은 입 버릇인 것 같습니다. ご挨拶してください。「고아이사쯔 시떼 구다사이.」 인사해주세요. 일본에는 하루의 시간 때에 따라 하는 인사가 다릅니다. 우리말에는 '안녕하세요' 하나만으로도 언제 어디서든 인사하는게 가능합니다, 저는 '..
보통은 집을 나갈 때 혹은 집에 막 도착했을 때 집에 사람이 있으면 인사를 합니다. 물론 사람이 없어도 인사 하고 가는 사람도 많습니다. 홀로 남겨진 집이나, 애완동물에게 하는 인사가 되겠죠. 이런게 인사하는 것은 어릴 때부터 교육받아 옵니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은 안타깝게도 인사를 잘 안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먼저 인사를 해봅니다. 보통은 반응이 없습니다. 먼저 인사를 해도, '네'가 끝이거나, 여전히 별 반응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에게 인사를 강조해서 여러번 하면 그제야 알아 차리고 인사를 하기도 하지만, 그냥 쳐다보고 '그래서 뭐', '왜 저러는 거야?'같이 표정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뭐야?'하는 그런 느낌이랄까요? 정말 슬픕니다. 직설적으로 인사를 하라고 해야만 마지못해 인사..
일드를 보고 있다보면, 뭔가 격식을 차려야하는 상황에서 직위가 높은 사람의 말을 받을 때 종종 쓰는 말이 있습니다. 뭔가 느낌상 '분부 받잡겠습니다'라는 느낌의 말인 것 같습니다. 물론 그 때만 쓰는 표현은 아니고, 아래처럼 다양한 상황에서 쓰입니다. 원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お言葉に甘える。「오꼬또바니 아마에루.」 る앞에 え가 오기 때문에 하1단 동사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해석을 하자면, '말씀하신 대로', '말씀을 고맙게 받아들어', '말씀 받들어'라는 뜻이 되겠습니다. 거절하지 않겠다는 의미로도 쓰이고, 하기 싫지만, 안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그 말대로 하겠다라는 의미로도 쓰이는 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て형에 쓸 때는 1단 동사는 る를 생각하고 て를 붙여 주면 됩니다. お言葉に甘えて입니다. ます..
움직일 동動, 말씀 사詞, 항상 동사를 설명할 때는 이렇게 풀어서 설명해주곤 합니다. 그러면 동사란 무엇인가 하고 물어봤을 때 문장의 주인님이신 주어의 상태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쉽게 이해가 되기 때문입니다. 일본어에서 동사는 도우시動詞라고 합니다. 동사는 어떤 형태를 하고 있는지와 그중에서 '~ます마쓰'라고 끝나는 형形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본어의 어순은 우리나라의 말과 같습니다. 주어 다음에 하고 싶은 말들이 쭈욱 나오고, 마지막에 '~다'로 끝나는 동사가 옵니다. 영어는 주어 다음에 바로 동사가 나옵니다. 중국어도 주어 다음에 동사가 바로 나오는 영어의 어순과 비슷합니다. 일단 일본어가 우리의 말과 순서가 같아서 영어보다는 친해지기에 더 쉽습니다. 앞서 일본어의 글자에 대해서 이야기해를..
누군가를 예기치 않게 처음만나게 되었을 때는 뻘쭘, 어색한 표정으로 '안녕하세요'라고 인사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만약 계획되었거나, 사업차 만났을 때는 대부분 자신에 차 있는 얼굴로 '처음뵙겠습니다'라고 인사할 것입니다. 혹은 '안녕하세요, 000입니다'라고 하기도 합니다. '처음뵙겠습니다'라는 말은 형식적이고 딱딱한 느낌이 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일본어로는 어떻게 표현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初めまして、Voxiと申します。「하지메 마시떼, Voxi또 모우시마스.」 처음뵙겠습니다, Voxi라고 합니다. 그리고나서 '잘부탁드립니다'라는 표현이 일반적으로 왔었던 기억이 납니다. 이 표현은 항상 누군가를 만나서 앞으로 같이 일을 해야 할 때라던가, 자주 봐야 하는 경우에 제가 즐겨 쓰는 말입니다..
동사에는 3가지가 있다고 했습니다. be동사, 조동사, 그리고 나머지 일반적인 일반동사입니다. 앞서 be동사와, 조동사에 대한 이야기를 했으니, 이제는 일반적인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나머지 일반적인 일반 동사에는 상당히 많은 단어들이 있습니다. 조동사는 뒤에 본동사가 와야하기 때문에 본동사와 조동사는 구분할 수 있을 겁니다. 이렇게 be동사 5가지, 그리고 도와주러 오는 조동사를 제외한 일반적인 경우를 말함으로 일반동사를 구분해야 합니다. S는 주어, V는 동사, R은 동사원형, sth은 목적어 or 보어 or 수식어구가 올 수 있는 기타의 경우를 뜻합니다. 일반동사의 문장을 나타낼 때는 긍정을 제외한, 부정문과 의문문에는 일반동사를 도와주는 조동사가 꼭 나옵니다. 바로 'do'인데, 현재와 과..
앞서 일반동사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이번에는 미래와 과거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미래는 조동사 will을 쓰는데, do의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헷갈려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과거는 조동사 do가 did가 되어 나오니 일반동사인지 조동사인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일반동사는 굵은 글씨로 표현했습니다. 세번째 미래시제이며, 주어 수에 상관없이 조동사 will을 쓰면 되겠습니다. 또는 be going to를 쓸 수 있는데, to 다음에 반드시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이 경우는 조동사 will에 관련된 글에서 설명을 했습니다. be + going + to를 사용할 때는 be동사는 반드시 주어에 맞춰서 am, are, is로 바꿔 써 줘야 합니다. 긍정 S + will..
- Total
- Today
- Yesterday
- 영화
- 카리 페이튼
- Ezekiel
- 미국영화
- Kinsley Isla Dillon
- 추석
- 결방
- 만화
- 이지키엘
- Ross Marquand
- 미드
- Khary Payton
- animation
- 한국
- 일드
- 킨슬리 아이슬라 딜런
- 로스 마퀀드
- 결혼
- 일본
- 미국
- Lotto
- 연금복권
- 한가위
- 로또
- 한국영화
- 일본영화
- 드라마
- Danai Gurira
- 다나이 구리라
- 당첨번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